[현장연결] 서울시 "백신 접종대상 우선순위 따라 분류…3단계 걸쳐 접종"<br /><br />오는 26일부터 시작되는 코로나 백신 접종과 관련해 서울시가 조금 전 세부적인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잠시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서정협 / 서울시장 권한대행]<br /><br />서울시는 18세 이상 서울 시민의 70% 이상인 약 606만 명에 대한 접종을 인플루엔자 유행 시즌 올해 전인 10월 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접종을 본격화합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전 시민 백신 접종이라는 전례없는 도전에 앞서 접종 대상별 3단계, 접종 방법별 3개, 또 모니터링 조치를 위한 3중 관리에 이르는 333대책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첫째 접종 대상을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고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확대접종하겠습니다.<br /><br />중증 혹은 사망 위험도, 의료방역사의 필수기능, 그리고 지역사회 전파 위험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했습니다.<br /><br />2월에서 3월 1단계 접종대상자는 총 9만6,000명입니다.<br /><br />전체의 1.6%에 해당합니다.<br /><br />26일부터 서울시 내 요양병원 137개와 요양시설 277개의 만 65세 미만 입원 입소자, 종사자 등 2만2,615명에 대한 접종을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대상자의 92.1%가 접종에 동의한 만큼 신속하게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이후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, 코로나 대응요원들에 대한 접종이 이루어집니다.<br /><br />1차 접종은 3월까지, 2차 접종은 4월에서 5월까지 완료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의사가 근무하는 요양병원은 백신 직송을 통해 자체 접종하도록 하고 요양시설은 의사와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보건소 방문 접종팀이 찾아가거나 또 시설별로 의사 등을 통해서 접종을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4월에서 6월에 있을 2단계에서는 전체 대상자의 30.5%인 185만 명에 대한 접종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65세 이상 어르신 154만5,000여 명, 노인재가복지시설 이용자 1만여 명과 종사자 5,700명, 또 1단계 접종 대상에서 제외된 의료기관과 약국 종사자 20만여 명, 장애인 입소자와 종사자 총 2만8,000명이 그 대상입니다.<br /><br />7월에서 10월 3단계에서는 전체 대상자의 67.8%인 411만 명에 대한 접종이 대대적으로 시작됩니다.<br /><br />50세에서 64세 성인,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, 군인, 경찰, 소방, 사회기반 종사자, 교육보육이설 종사자부터 그 외 시민까지 순차적으로 접종대상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둘째 접종 방법은 백신의 특성과 도입시기, 또 접종 대상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예방접종센터, 위탁의료기관 또 방문접종의 3개 트랙으로 구분해 진행하고자 합니다.<br /><br />우선 예방접종센터에서는 초저온 관리가 필요한 화이자, 모더나 백신접종이 이루어집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중앙접종센터 1곳을 국립중앙의료원 내에 또 서울시가 지역접종센터 29곳을 구민회관, 체육관 등 대규모 공공시설에 설치 운영합니다.<br /><br />자치구별로 한 개소를 기준으로 설치하되 인구가 50만 명 이상인 강남, 강서, 노원, 송파 4개구는 1개 소씩 추가 설치해 지역별 병목현상을 예방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역 접종센터의 경우 현재 25개소에 대한 장소를 확정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서울시 1호 지역 접종센터는 성동구청의 다목적 강당에 설치됩니다.<br /><br />3월 중순부터 가동에 들어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